우리 아들이 삼재라고 하네요. 나는 삼재가 끝났다네요? 무슨 말일까요?
페이지 정보

본문
1. 삼재란 무엇인가요?(비기독교적인 배경)
"삼재"는 한국 전통 명리학(사주팔자)에서 나오는 개념입니다.
한자로는 **세 가지 재앙(三災)**이라는 뜻이에요.
삼재는 전통 동양 명리학(사주)에서 말하는 9년 주기의 재앙기로, 개인의 띠에 따라 들어오는 **3가지 재앙(재난, 질병, 손재 등)**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들삼재-눌삼재-날삼재"로 나뉘며, 특히 눌삼재 해에는 큰 어려움이 있다고 여깁니다.
> 사람마다 띠(生肖, 12지지 동물)에 따라
약 9년마다 3년간 운이 안 좋은 시기가 온다고 봅니다.
2. 삼재의 구성
삼재의 3단계 뜻 설명
들삼재 재앙이 들어오는 시기 일이 꼬이기 시작하는 해
눌삼재 재앙이 머무는 시기 가장 힘든 시기로 여김
날삼재 재앙이 빠져나가는 시기 고난이 끝나가는 해로 봄
???? 예시로 보는 삼재
띠 삼재가 드는 해
쥐, 용, 원숭이띠. 호랑이 → 토끼 → 용 해
소, 뱀, 닭띠 돼지 → 쥐 → 소 해
호랑이, 말, 개띠 뱀 → 말 → 양 해
토끼, 양, 돼지띠 원숭이 → 닭 → 개 해
> 예: 용띠는 호랑이해부터 삼재가 시작된다고 봅니다.
3. 삼재 때 어떤 일이 생긴다고 하나요?
명리학에서는 삼재가 들면 보통 아래와 같은 일이 생긴다고 믿습니다.
사업 실패, 금전 손해
질병, 사고
가족 간 갈등
교통사고, 소송
물론 이것은 통계적 근거가 없고 심리적인 영향이나 우연일 가능성이 큽니다.
4. 사람들은 왜 삼재를 믿을까요?
고난에 이유를 붙이고 싶어서
“요즘 왜 이렇게 안 풀리지?” → “아, 삼재구나…”
심리적 위로
“이 시기만 지나면 괜찮아질 거야”
“나만 힘든 게 아니야, 띠가 같으면 다들 그렇다니까”
1) 삼재 개념의 심리적 작용: 좋은 점과 한계
* 삼재가 주는 긍정적 작용 (심리적 안정)
"요즘 왜 이렇게 일이 꼬일까?"라는 질문에
"삼재라 그런가보다" 하고 받아들이면
→ 자기비난, 죄책감, 불안이 줄고
→ "나만 그런 게 아니야"라는 위로를 줌
> 즉, 삼재는 개인의 고난을 사회적 맥락에 연결시키며 '심리적 방어기제'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이건 고통에 의미를 부여하려는 인간의 본능적 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그러나 사주와 띠로 미래를 단정짓는 것은 비과학적이고 비신앙적
띠나 생년월일로 사람의 운명을 결정지으려는 것은
통계적 근거나 재현 가능한 과학이 아닙니다.
더 나아가 기독교적으로는 하나님의 창조성과 주권을 부정하는 행위가 될 수 있습니다.
> 시편 139:16
“내 형질이 이루어지기 전에 주의 눈이 보셨으며 나의 날이 정해지기 전에 주의 책에 다 기록되었나이다.”
3) 기독교인의 균형 잡힌 태도
태도 설명
- 삼재 개념의 심리적 역할은 이해할 수 있음, 하지만 그것에 기대어 신앙과 삶을 움직여선 안 됨
- 사주, 띠, 운세로 미래를 단정하거나 행동하지 않음 대신 말씀과 기도로 방향을 묻고 결정함
- 고난 중에도 믿음의 해석을 찾음 “삼재라서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더 깊은 의도를 가지고 계심”
4) 한 문장 요약
“삼재는 심리적 위안은 줄 수 있지만,
하나님의 뜻과 주권을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그리스도인은 운명이 아닌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라 사는 사람들입니다.”
5. 기독교에서는 어떻게 볼까요?
1) 삼재는 미신입니다.
기독교는 우주의 운행과 인간의 삶이 띠나 생년월일에 좌우된다고 보지 않습니다.
성경은 하나님이 모든 시간을 주관하시는 분이라고 말합니다.
> 전도서 3:1 ? “범사에 기한이 있고 천하 만사가 다 때가 있나니…”
2) 고난은 삼재 때문이 아니라, 삶의 일부입니다.
예수님도 고난을 받으셨습니다.
하나님은 고난을 통해 우리를 성장시키시고, 더 깊은 뜻과 계획을 이루십니다.
> 로마서 8:28 ?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6. 기독교인은 삼재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기독교는 하나님을 전능하신 창조주로 믿으며, 사람의 운명이나 미래는 사주팔자나 띠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지 않습니다. 따라서 삼재에 대한 기독교인의 기본적인 자세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삼재는 미신이며, 신앙적으로 따를 필요가 없습니다.
성경은 사람의 삶을 하나님의 주권 아래에 있다고 가르칩니다.
이사야 45:7
"나는 빛도 짓고 어둠도 창조하며, 평안도 짓고 재앙도 창조하는 자니 나 여호와라 이 모든 일을 행하는 자니라."
> 삶의 고난과 평안은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뜻과 섭리 안에 있습니다.
② 불안과 두려움은 하나님께 맡기고 기도로 이겨야 합니다.
삼재를 두려워하는 마음은 결국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 때문입니다.
그러나 기독교인은 염려 대신 기도와 신뢰로 반응해야 합니다.
빌립보서 4:6-7
"아무 것도 염려하지 말고 오직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그리하면 모든 지각에 뛰어난 하나님의 평강이 너희 마음과 생각을 지키시리라."
③ 고난이 닥쳐도 하나님의 계획과 인도하심을 신뢰합니다.
고난은 언제든지 올 수 있으며, 그것이 삼재의 해이어서가 아니라, 우리의 성장을 위한 과정일 수 있습니다.
로마서 8:28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의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7. 기독교인은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삼재가 걱정될 때)
태도 설명 성경적 근거
미신을 멀리함 사주, 점술, 타로, 풍수, 삼재 등은 영적 혼합주의입니다. 레위기 19:31, 신명기 18:10-12
기도로 무장함 두려움을 하나님께 아뢰고 말씀과 기도로 평안 누림 빌립보서 4:6-7
지혜롭게 대비함 건강관리, 재정 점검 등 현실적 준비는 지혜입니다. 잠언 21:5
믿음의 공동체와 함께함 함께 중보하고 격려받는 공동체가 필요합니다. 히브리서 10:24-25
* 마무리 권면
> "삼재가 무섭다기보다, 하나님을 신뢰하지 않는 마음이 더 무섭습니다.
그리스도인은 어떠한 해도 주님의 허락 없이는 우리를 해칠 수 없다는 믿음 위에 살아갑니다."
6. 염려 말고 기도하세요.
삼재를 피하려고 부적을 붙이거나 점을 보러 가는 것이 아니라,
기독교인은 어려운 시기일수록 더 기도하고 하나님을 의지합니다.
> 빌립보서 4:6 ? “아무것도 염려하지 말고 기도하라…”
7. 한 문장 요약
> “삼재는 사람에게 일어나는 ‘일반적인 고난’을 띠에 끼워 맞춘 미신일 뿐입니다.
기독교인은 운명에 끌려가는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삼재"는 한국 전통 명리학(사주팔자)에서 나오는 개념입니다.
한자로는 **세 가지 재앙(三災)**이라는 뜻이에요.
삼재는 전통 동양 명리학(사주)에서 말하는 9년 주기의 재앙기로, 개인의 띠에 따라 들어오는 **3가지 재앙(재난, 질병, 손재 등)**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들삼재-눌삼재-날삼재"로 나뉘며, 특히 눌삼재 해에는 큰 어려움이 있다고 여깁니다.
> 사람마다 띠(生肖, 12지지 동물)에 따라
약 9년마다 3년간 운이 안 좋은 시기가 온다고 봅니다.
2. 삼재의 구성
삼재의 3단계 뜻 설명
들삼재 재앙이 들어오는 시기 일이 꼬이기 시작하는 해
눌삼재 재앙이 머무는 시기 가장 힘든 시기로 여김
날삼재 재앙이 빠져나가는 시기 고난이 끝나가는 해로 봄
???? 예시로 보는 삼재
띠 삼재가 드는 해
쥐, 용, 원숭이띠. 호랑이 → 토끼 → 용 해
소, 뱀, 닭띠 돼지 → 쥐 → 소 해
호랑이, 말, 개띠 뱀 → 말 → 양 해
토끼, 양, 돼지띠 원숭이 → 닭 → 개 해
> 예: 용띠는 호랑이해부터 삼재가 시작된다고 봅니다.
3. 삼재 때 어떤 일이 생긴다고 하나요?
명리학에서는 삼재가 들면 보통 아래와 같은 일이 생긴다고 믿습니다.
사업 실패, 금전 손해
질병, 사고
가족 간 갈등
교통사고, 소송
물론 이것은 통계적 근거가 없고 심리적인 영향이나 우연일 가능성이 큽니다.
4. 사람들은 왜 삼재를 믿을까요?
고난에 이유를 붙이고 싶어서
“요즘 왜 이렇게 안 풀리지?” → “아, 삼재구나…”
심리적 위로
“이 시기만 지나면 괜찮아질 거야”
“나만 힘든 게 아니야, 띠가 같으면 다들 그렇다니까”
1) 삼재 개념의 심리적 작용: 좋은 점과 한계
* 삼재가 주는 긍정적 작용 (심리적 안정)
"요즘 왜 이렇게 일이 꼬일까?"라는 질문에
"삼재라 그런가보다" 하고 받아들이면
→ 자기비난, 죄책감, 불안이 줄고
→ "나만 그런 게 아니야"라는 위로를 줌
> 즉, 삼재는 개인의 고난을 사회적 맥락에 연결시키며 '심리적 방어기제'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이건 고통에 의미를 부여하려는 인간의 본능적 시도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그러나 사주와 띠로 미래를 단정짓는 것은 비과학적이고 비신앙적
띠나 생년월일로 사람의 운명을 결정지으려는 것은
통계적 근거나 재현 가능한 과학이 아닙니다.
더 나아가 기독교적으로는 하나님의 창조성과 주권을 부정하는 행위가 될 수 있습니다.
> 시편 139:16
“내 형질이 이루어지기 전에 주의 눈이 보셨으며 나의 날이 정해지기 전에 주의 책에 다 기록되었나이다.”
3) 기독교인의 균형 잡힌 태도
태도 설명
- 삼재 개념의 심리적 역할은 이해할 수 있음, 하지만 그것에 기대어 신앙과 삶을 움직여선 안 됨
- 사주, 띠, 운세로 미래를 단정하거나 행동하지 않음 대신 말씀과 기도로 방향을 묻고 결정함
- 고난 중에도 믿음의 해석을 찾음 “삼재라서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더 깊은 의도를 가지고 계심”
4) 한 문장 요약
“삼재는 심리적 위안은 줄 수 있지만,
하나님의 뜻과 주권을 대체할 수는 없습니다.
그리스도인은 운명이 아닌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라 사는 사람들입니다.”
5. 기독교에서는 어떻게 볼까요?
1) 삼재는 미신입니다.
기독교는 우주의 운행과 인간의 삶이 띠나 생년월일에 좌우된다고 보지 않습니다.
성경은 하나님이 모든 시간을 주관하시는 분이라고 말합니다.
> 전도서 3:1 ? “범사에 기한이 있고 천하 만사가 다 때가 있나니…”
2) 고난은 삼재 때문이 아니라, 삶의 일부입니다.
예수님도 고난을 받으셨습니다.
하나님은 고난을 통해 우리를 성장시키시고, 더 깊은 뜻과 계획을 이루십니다.
> 로마서 8:28 ?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6. 기독교인은 삼재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기독교는 하나님을 전능하신 창조주로 믿으며, 사람의 운명이나 미래는 사주팔자나 띠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지 않습니다. 따라서 삼재에 대한 기독교인의 기본적인 자세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삼재는 미신이며, 신앙적으로 따를 필요가 없습니다.
성경은 사람의 삶을 하나님의 주권 아래에 있다고 가르칩니다.
이사야 45:7
"나는 빛도 짓고 어둠도 창조하며, 평안도 짓고 재앙도 창조하는 자니 나 여호와라 이 모든 일을 행하는 자니라."
> 삶의 고난과 평안은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뜻과 섭리 안에 있습니다.
② 불안과 두려움은 하나님께 맡기고 기도로 이겨야 합니다.
삼재를 두려워하는 마음은 결국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불안 때문입니다.
그러나 기독교인은 염려 대신 기도와 신뢰로 반응해야 합니다.
빌립보서 4:6-7
"아무 것도 염려하지 말고 오직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그리하면 모든 지각에 뛰어난 하나님의 평강이 너희 마음과 생각을 지키시리라."
③ 고난이 닥쳐도 하나님의 계획과 인도하심을 신뢰합니다.
고난은 언제든지 올 수 있으며, 그것이 삼재의 해이어서가 아니라, 우리의 성장을 위한 과정일 수 있습니다.
로마서 8:28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의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7. 기독교인은 어떻게 살아야 하나요? (삼재가 걱정될 때)
태도 설명 성경적 근거
미신을 멀리함 사주, 점술, 타로, 풍수, 삼재 등은 영적 혼합주의입니다. 레위기 19:31, 신명기 18:10-12
기도로 무장함 두려움을 하나님께 아뢰고 말씀과 기도로 평안 누림 빌립보서 4:6-7
지혜롭게 대비함 건강관리, 재정 점검 등 현실적 준비는 지혜입니다. 잠언 21:5
믿음의 공동체와 함께함 함께 중보하고 격려받는 공동체가 필요합니다. 히브리서 10:24-25
* 마무리 권면
> "삼재가 무섭다기보다, 하나님을 신뢰하지 않는 마음이 더 무섭습니다.
그리스도인은 어떠한 해도 주님의 허락 없이는 우리를 해칠 수 없다는 믿음 위에 살아갑니다."
6. 염려 말고 기도하세요.
삼재를 피하려고 부적을 붙이거나 점을 보러 가는 것이 아니라,
기독교인은 어려운 시기일수록 더 기도하고 하나님을 의지합니다.
> 빌립보서 4:6 ? “아무것도 염려하지 말고 기도하라…”
7. 한 문장 요약
> “삼재는 사람에게 일어나는 ‘일반적인 고난’을 띠에 끼워 맞춘 미신일 뿐입니다.
기독교인은 운명에 끌려가는 사람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에 따라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 다음글믿음의 조상 아브라함 25.07.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