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9세 방지일목사님
페이지 정보

본문
?
“닳아 없어질지언정 녹슬지는 않으리라.”
“믿음이 뭐라고 생각하는가?“라고 물었다. 방지일 목사는 “믿음은 내 죄를 시인하는 것이다. 그렇게 시인한 죄를 대신해 주님이 죽은 것이다”라고 답했다. [신인섭 기자] | |
방 목사의 삶은 ‘한국 개신교 100년 역사’와 맥을 같이한다. 1933년 평양숭실대를 나왔고, 장대현 교회(평양대부흥의 현장)에서 전도사로 일했다. 목사 안수를 받은 지는 72년째다. 명실공히 개신교계의 ‘최고 어른’으로 꼽힌다. 젊었을 적 방 목사의 집에서 성경공부를 했던 김삼환(명성교회 담임) 목사는 지금도 방 목사를 “나의 스승”이라고 부른다.
방 목사는 매일 새벽 3시에 일어난다. 그리고 직접 e-메일을 체크한다. “예전에는 시차도 있고, 국제전화 요금도 많이 나왔는데 이건 공짜나 다름없다”며 선교사나 해외 목회자들에게 하루 30통 이상의 e-메일을 보낸다. 혼자서 고속버스 타고, 비행기도 타며 쉴 틈 없이 지방 강연도 다닌다. 지금도 성경공부팀 두 곳을 지도하고 있다. 방 목사는 “녹스는 게 두려울 뿐, 닳아 없어지는 건 두렵지 않다”고 말한다. 그에게 ‘예수’를 물었다.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 뭔가.
“죄사함이다. 하나님 나라에는 죄가 없다. 그래서 죄를 안고선 그 나라에 들어갈 수가 없다. 그러니 죄로 얼룩진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죄사함을 받는 것이다.”
이 말끝에 방 목사는 ‘무덤 일화’를 예로 들었다. 한국전쟁 때 어떤 사람이 너무도 정성스레 무덤을 돌보고 있었다. 지나가던 사람이 물었다. “부인의 무덤이오? 아니면 자식의 무덤이오?” 엉뚱한 답이 돌아왔다. “이건 내 무덤이오.” 행인이 의아해서 물었더니 이렇게 말했다는 것이다. “나는 외아들인데 내 대신 전쟁터에 나가서 죽은 사람의 무덤이오. 그러니 내 무덤이오.” 방 목사는 “예수의 무덤, 예수의 죽음도 그런 것”이라고 말했다.
-어떡해야 죄사함을 받을 수 있나.
“신앙은 투항이다. 내가 들고 있는 총과 칼을 내려놓고 하나님께 투항하는 거다.”
-‘내가 가진 총과 칼’이 뭔가.
1930년 10월 평양숭실대 재학시절. 앞줄 왼쪽부터 방지일 목사, 양주동 박사(당시 영문과 교수), 춘원 이광수(당시 초청강사로 방문) | |
-예수의 유언도 그랬다. “아버지 손에 내 영혼 바치나이다.”
“그게 무슨 뜻인가. ‘하나님께 다 바칩니다’란 뜻이다. 내 주장, 내 의견이 없는 거다. 그럴 때 성령이 와서 나를 지배하는 거다. 목회자의 설교도 그래야 한다.”
-그런 설교라면.
“내가 책을 많이 보고, 내 창고에 책이 많이 있다. 그런데 그걸로 설교를 하고 ‘잘했다’고 하면 맞나? 아니다. 그건 나의 말이고, 나의 강의다. 목회자가 강단에 설 때는 내 말을 하는 게 아니다. 골방에 들어가 기도하며 얻은 하나님 말을 하는 거다.”
-그래도 설교를 듣고서 “오늘 은혜를 받았다”고 하지 않나.
“나도 종종 그런 말을 듣는다. 듣기는 좋다. 그러나 은혜를 받고 안 받고는 나와 관계가 없다. 그건 하나님의 영에 의해서 받는 거다. 교회에서 사람들은 종종 ‘아멘!’하고 반응한다. ‘할렐루야’라고 외친다. 시키는 대로 하는 게 ‘아멘’인가. 그렇게 말한다고 자신의 신앙이 더 깊은 건가. ‘아멘’은 그런 뜻이 아니다.”
-‘아멘’은 무슨 뜻인가.
“그건 ‘사인’이다. ‘아멘’은 마음으로 하는 사인이다. ‘그렇습니다. 나도 그래요’하고 사인하는 거다. 그래서 진실로 하는 말이 ‘아멘’이다. 요한복음에서 예수님이 ‘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라고 말했다. 그게 ‘아멘’이란 뜻이다.“
-어떡해야 마음으로 사인을 하게 되나.
"회개를 통해서다. 회개가 뭔가. 자기가 죽는 거다. 완전히 투항하고, 무장도 벗고, 나는 없어져야 한다. 그리고 ‘이젠 다 맡아주세요’ 하는 거다. 교회에서 하는 간증도 마찬가지다.”
-간증이라면.
“간증하면서 자신의 영광을 드러내는 사람이 있다. 내가 이걸 하고, 내가 저걸 했다고 한다. 그건 하나님의 영광을 욕되게 하는 거다. 참다운 간증에선 나는 없고, 주님만 나타나는 거다.”
방 목사는 평양 숭실대에서 보냈던 대학 시절을 말했다. “그때 강의실 의자가 나사로 바닥에 박혀 있었지. 그 의자를 몇 개나 부쉈는지 몰라. 빈 강의실에 앉아 기도하면서 내 죄가 정말로 많다는 걸 알았거든. 의자를 잡고, 마구 흔들고, 통곡하면서 회개했지. 그래도 다음날 또 죄가 보여. 회개를 할수록 마음을 들여다보는 현미경 배율도 더 높아지는 법이거든.”
-그럼 언제까지 회개를 하는 건가.
“주님이 오실 때까지다. 사람들은 예수를 배반한 유다를 나쁜 놈이라고 말한다. 그런데 알아야 한다. 나도 내일의 유다가 될 수 있다. 그래서 기도하는 사람은 자신의 죄를 찾아야 한다.”
-죄를 찾으면 어찌 하나.
“완전히 무장해제시키면 된다. 성경에는 ‘너희 죄가 주홍같이 붉을지라도 눈과 같이 깨끗해진다’고 했다. 죄는 회개하는 즉시 깨끗해진다. 단, 진실한 마음이어야 한다.”
- 이전글체육대회 평가회 09.06.07
- 다음글전체대-우리는하나-44 09.06.01
댓글목록

님의 댓글
작성일남은 여생이 더욱 복되시기를 바라며 . . . . ( 창세기 24장 1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