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청년부의 장애인 인식정도
페이지 정보

본문
오산장로교회의 청년들에게 장애인 인식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 [질문-1] 장애인에게 교육이 필요한가?
- 매우 필요하다. 2명(40%)
- 필요하다. 3명(60%)
- 필요한 것 같다 0명(0%)
- 전현 필요없다. 0명(0%)
- [질문-2] 장애인들에게 직업은?
- 매우 필요하다. 1명(20%)
- 필요하다. 4명(80%)
- 필요한 것 같다. 0명(0%)
- 전현 필요 없다. 0명(0%)
- [질문-3] 장애인들에게 결혼이 필요한가?
- 매우 필요하다. 0명(0%)
- 필요하다. 5명(100%)
- 필요한 것 같다. 0명(0%)
- 전현 필요 없다. 0명(0%)
?우리들의 삶에서 교육 직업, 결혼은 우리들의 삶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현대인들에서 교육은 삶을 여는 것 입니다, 교육은 없어서는 되지 않는 일 입니다.
?
- [질문-1] 장애인 교육은?
- 필요한다, 3명(100%)
- 필요없다. 0명(0%)
- [질문-2]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교육형태는?
- 따로 교육을 받아야 한다 0명(0%)
- 함께 교육을 받아야 한다. 1명(33.33%)
- 상황에 맞게 교육하면 된다. 2명(66.67%)
?
? 현대인들에게 교육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데 우리 나라의 교육은 대학입시 위주로 되어 있습니다. 특수학교에서도 1995년 대입장애인특례입학라는 제도로 인하여 특수학교들이 입시열풍에 휩싸이고 말았습니다. 요즘 보통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장애학생들을 받아 드리는데 따로 공부을 시키다고 합니다. 효율성 측면에서 보면 합리적이고 바라직한 방법일지 몰랐도 앞으로 그 학생들이 사회에 나와서 합쳐지는 것이 힘들어 보입니다. 우선적으로 장애학생들은 피해 의식을 갖지한 채 공부를 합니다. 그리고 비장애인 학생들은 장애학생들을 도와 주는 상태로만 인식하게 됩니다. 그래서 그런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사회로 진출하게 되면
따로 기업을 만들거나 기업에서는 장애인들을 받아주지 안습니다.
- [질문-1] 장애인들에게 직업이 필요한가?
- 필요하다. 5명(100%)
- 필요 없다. 0명(0%)
- [질문-2] 장애인 직업과 비장애인 직업은?
- 따로 일 해야 한다. 0명(0%)
- 함께 일 해야 한다. 5명(100%)
- [질문-3] 장애인 경제는 누구의 책임일까?
- 국가나 지역 사회의 책임이다, 5명(100%)
- 부모나 가족의 책임이다. 0명(0%)
- [질문-1] 장애인 전도가 필요한가?
- 전혀 필요 없다. 0명(0%)
- 필요하다 3명(100%)
- [질문-2] 장애인와 예배를 드리는 형태?
- 따로 드려야 한다. 0명(0%)
- 함께 드려야 한다. 3명(100%)
- [질문-3] 장애인들에게 신앙교육이 필요한가?
- 전혀 필요 없다. 0명(0%)
- 필요한 것 같다. 1명(33.33%)
- 매우 필요하다. 1명(33.33%)
- 대단히 필요하다. 1명(33.33%)
?보통 교회에서 장애인 전도나 장애인 신앙교육은 아예 없습니다. 예수님께서 밞은 땅마다 장애인들이 몰려 들었습니다. 그러나 일반 교회에서 장애인들에게 신앙교육은 전무한 상태입니다. 한국의 끼리끼리?문화가 있습니다, 그리고 오산시의 외국인 노동자들도?많습니다. 장애인들과 외국인들까지도 잘?비버야 합니다.
질문-1] 우리 나라에서 장애인차별철폐운동 필요성?
- 전현 필요없다. 0명(0%)
- 필요성이 약간 있다. 0명(0%)
- 필요한 것 같다. 2명(66.67%)
- 매우 필요로 한다. 0명(0%)
- 잘 모르겠다. 1명(33.33%)??
?요즘 장애인들이 장애인차별철페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이 문제는 너무 광범위 합니다. 이 운동이 발생한 것은 장애인 당사자와 사회를 이루는 우리들 모두에게 있습니다. 1995년 장애인 특례입학으로 장애인들에게?대학의 문이 열립니다.? 그러나 우리 경제계의 문은 여전히 닫혀 있습니다. 자아실현를 하려면 직업으로 풀어야하는 우리들 사회 구조 입니다.
? 존경하는 여러분 이 통계는 오산장로교회 청년부에서 내었던 것 입니다. 우리 교회 제직회에서 통계를 내면 또 달라 지곘죠. 여러분들께서는 이런 문제들을 어떻게 생각 하십니까? 장애인들이 인권운동을?하는 것을 멈추게 할?방법들을 우리 사회가 생각하면서 실천으로?옮기 때가 되었습니다. 어쩌면 우리 사회가 이?인권운동을 막을 수도 있었습니다.?
?
?이 통계은 오산장로교회 청년부에서 냈습니다, 응답하여 주신 ?오산교회 청년부원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 이전글내가 주는 물을 마시는 자는 10.06.09
- 다음글일어 서세요 10.06.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