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교회

subtop-06-250102.jpg

자유 게시판

지역사회의 자랑과 희망이 되는 교회, 오산교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홈 | 교제와 나눔 | 자유게시판


본 홈페이지는 오산교회 성도님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자유게시판을 이용하실 분은 회원 가입 후 교회 사무실(031-374-0203~6)에 인증을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성찬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권영대
댓글 0건 조회 2,257회 작성일 10-07-18 09:44

본문

영성체(Holy Communion), 주의 만찬(Lord\'s Supper)이라고도 함.

그리스도교의 성례(聖禮).

?

5f7f05772d6c8

?

?


예수가 제자들과 마지막 만찬을 들 때 빵을 주면서 "이것은 내 몸이다"라고 말하고, 포도주를 주면서 "이것은 내 피다"라고 말하면서 보인 행동을 기념한다. 예수가 십자가에 달리기 전날 밤에 성찬식을 제정했다는 이야기는 〈신약성서〉 4권에 기록되어 있다(마태 26:26~28, 마르 14:22~24, 루가 22:17~20, I 고린 11:23~25). 바울로의 편지들과 〈사도행전〉에 의하면 초기 그리스도교도들은 성찬식 제정사(制定辭)에 장차 하느님 나라에서 누리게 될 큰 잔치의 기쁨을 이 세상에서 미리 맛보게 하는 이 예식을 계속하라는 명령이 포함되어 있다고 믿었음을 알 수 있다.


성찬식은 그리스도교예배의 중심 의식(儀式)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교회의 통일성을 보여주는 상징과 그 통일성을 촉진하는 방법으로 생각되어온 성찬식은 분열과 분쟁의 원천이 되기도 했다. 그리스도교도라면 누구나 성찬식이 빵을 먹고 포도주(또는 일부 개신교도들의 경우에는 포도즙)를 마심으로써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언행을 회상하며 기념하는 것이라는 데 동의할 것이다. 또한 성찬식에 참여함으로써 신자들이 그리스도와의 사귐뿐만 아니라 신자들 상호간의 사귐까지도 깊게 한다는 데 동의할 것이다. 모든 그리스도교 교파는 빵을 떼고 포도주를 붓는 행위를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당한 죽음의 핵심적인 상징으로 인정한다. 대부분의 그리스도교 전승들은 예수가 특별한 방법으로 성찬식에 임재한다고 가르치지만, 임재의 형태·장소·시간에 대해서는 각기 견해가 다르다. 간단히 말해 그리스도교인들 사이에서는 그리스도의 임재, 성찬식의 효과 등에 관한 신앙고백적인 논쟁보다는 성찬식의 의미에 관해서 더욱 많은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 종교상징주의)


로마 가톨릭 교회의 성찬식 교리에 따르면, 빵과 포도주가 그리스도의 살과 피로 \'그 실체가 변화\'한다고 한다(→ 화체설). 즉 빵과 포도주의 외형, 곧 \'우연성\'은 그대로 남아 있으나, 빵과 포도주의 본질적인 실체는 살과 피의 총체적 실체로 변한다는 것이다. \'호스티아\'(성찬식의 빵)를 숭배하고 보관하는 관습은 온전한 그리스도가 빵과 포도주의 형태로 나타나는 자신의 살과 피에 실제로 임재한다는 이 교리에서 나온 것이다. 19~20세기에 일어난 로마 가톨릭의 전례운동은 성찬식을 자주 거행할 것, 전체 교도가 성찬식에 참여할 것, 그리스도가 성찬식에 실제로 임재하기 위한 근본 전제인 \'그리스도가 교회에 실제로 임재하는 것\'을 강조했다(→ 미사, 실체적 임재). 동방정교회의 성찬식 신조와 의식은 로마 가톨릭 교회와 많은 점에서 공통된다. 양자의 차이는 교리보다는 전례 분야에서 나타나는데, 주요차이점 가운데 하나는 누룩을 넣지 않은 빵보다는 누룩을 넣은 빵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로마 가톨릭 신학은 성찬제정사의 낭송이 성사(聖事)로서의 성찬식에서 필수불가결하다고 주장하는 반면에, 동방교회 신학은 빵과 포도주에 성령이 임재하도록 기원하는 것(그리스어로 \'epiklēsis\')이 성찬식의 필수적인 형식 가운데 하나라고 주장한다.


그밖의 서방교회들 가운데 가톨릭의 성찬 교리와 의식 전통을 가장 가까이 따르는 교회는 성공회루터교이다. 초기 성공회 신학은 로마 가톨릭의 성찬 교리를 심하게 반대했지만, 19세기초부터는 로마 가톨릭 전통을 많이 유지했다. 루터교는 16세기에 빵과 포도주 \'안에, (와) 함께, 아래\' 그리스도의 살과 피가 실제로 임재한다고 분명히 주장했고, 성찬식의 목적이 죄사함에 있다고 강조했다. 성공회와 루터교의 의식은 미사의 일부 요소들을 취사선택하면서도 미사의 틀을 그대로 유지했다. 19~20세기에 두 교파에서 일어난 전례운동은 미사의 다른 요소들을 회복시켰다. 그러나 성찬식에 대한 신학적 해석은 여전히 다르다.


개혁 그리스도교에서 울리히 츠빙글리는 성찬식의 기념적 성격을 강조했다. 그러나 칼뱅은 살아 있는 그리스도가 성찬식의 요소들보다는 성례 행위를 통해 \'실제적이되 영적으로 임재한다\'고 가르쳤다(→ 개혁교회, 칼뱅주의). 개신교 내의 다른 교파들은 성찬식을 \'규례\'로 받아들였다. 성찬식은 은혜의 통로가 아니라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신앙과 순종의 표현이라는 것이다. 침례교에서는 적법하게 세례를 받은 사람들, 즉 신앙고백을 한 성인들만이 \'폐쇄적인 성찬식\'에 참여할 수 있다. 프렌드회(퀘이커교)는 형식주의를 배격하는 가운데 성찬식도 폐지했다. 교리와 의식이 이렇게 다양하게 변한 결과, 성찬식은 에큐메니컬 운동의 신중한 토론 과정에서 핵심적인 쟁점이 되어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ince 2010. Copyright @ OSANCHURCH.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