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책만 마스터 하면 안애정집사 보다 잘할수 있다는데 ㅋㅎㅎㅎㅎ
페이지 정보

본문
교회영상시스템 관련 책이 나와 소개 드립니다. ?
구입방법은 하기의?사이트에 있습니다. http://cafe.naver.com/churchvideo/2 ? 소개의 글 교회의 영상시스템 전반에 대해 실제 사진과 함께 자세하게 구분하여 소개하였으며 나중에 다른 교회에 방문할 때에도 꼭 확인해보아야 할 사항을 점검할 수 있게 합니다. 영상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영상신호의 선택과 사용방법, 모니터를 조정하여 영상신호를 제대로 보는 방법, 등을 다루고 있으며 한발 더 나아가 카메라에서 스위처, 영상신호기록장치들, 디스플레이 등 영상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기본 사용방법도 설명 합니다. ? 프롤로그 교회 방송실을 돌아다니며 방송실 책임자분들과 함께하는 중에 항상 늘 아쉬움으로 남는 부분이 교회에서 사용되는 영상장비의 사용방법과 기초이론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청들 이었습니다. 마땅히 적당한 자료도 찾기가 어려운 상황에 짧은 지식이지만 백지에 그려가며 설명도 해 보고 직접 장비들 들고 시연도 해 보고 또 전문가를 초빙하여 특정 장비에 대한 교육프로그램도 진행해 보고 제가 근무하는 회사의 영상시스템 관련 교육프로그램에 초청하여 교육프로그램도 진행하여 보고 하였으나 역시 교회영상시스템에는 뭔가 부족하다는 생각을 떨쳐버리지 못하고 있는 차에 자네가 사명을 가지고 한번 해보지 않겠냐는 지인들의 권고와 교회 영상시스템 담당자분들의 요청들이 제 마음에 남아 있었나 봅니다. 그 동안 교회를 돌아다니며 틈틈이 정리해 두었던 부족한 자료이지만 이렇게 책으로 만들어 봅니다. 그의 나라와 의를 위하여 노력하는 데 조금이라도 밑거름이 되었으면 하며 앞으로 교회영상 분야에 좀 더 좋은 책들이 많이 나오는데 밑거름이 되었으면 합니다. ? 차 례 제1장 교회영상시스템의 전반적인 이해 1. 예배당(본당) 영상시스템 ??? 1-1. 예배당 내의 디스플레이에 영상 제공 ??? 1-2. 예배(행사)실황 생중계 ??? 1-3. 예배당 내 실황 녹화 2. 예배당영상시스템의 구성 ??? 2-1. 예배당 ??? 2-2. 카메라시스템 ??? 2-3. 인터페이스박스 ??? 2-4. 디스플레이시스템 ??? 2-5. 방송실 3. 부속실(다목적실) 영상시스템 및 조정실 4. 스튜디오 ??? 4-1. 큰 규모의 스튜디오 ??? 4-2. 중간 규모의 스튜디오 ??? 4-3. 작은 규모의 스튜디오 5. 편집실 ??? 5-1. 리니어 편집실 ??? 5-2. 논리니어 편집실 6. 이동시스템 7. 영상 담당자 ? 제2장 영상신호와 컴퓨터신호의 구분과 선택 1. 영상신호의 종류 ??? 1-1. 컴포지트신호(Composite signal) ??? 1-2. S Video신호(Separate video signal) ??? 1-3. 컴포넌트신호(Component signal) ??? 1-4. HD아날로그컴포넌트신호(HD Analogue Component signal) ??? 1-5. RGB신호(아날로그) ??? 1-6. SDI신호(Serial Digital Interface signal) ??? 1-7. SDTI(Serial Data Transport Interface, SMPTE 305M)신호 ??? 1-8. SDTI‐CP(Serial Data Transport Interface‐Content Package) ??? 1-9. i.Link신호 (IEEE1394.a) ??? 1-10.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신호 ??? 1-11. DVI(Digital Video Interface)신호 ??? 1-12. 아날로그음향신호(Analogue Audio signal) ??? 1-14. AES/EBU Audio신호 2. 영상신호 선택하기 ??? 2-1. 화질(해상도)적인 측면 ??? 2-2. 전송거리 ??? 2-3. 영상신호의 지연(Delay) ??? 2-4. 범용성 및 가격 3. 규모 및 용도에 따른 영상신호의 구분 ? 제3장 모니터로 영상신호 보기 ??? 1. 모니터용 기준 영상신호 ??? 1-1. SMPTE컬러바(Color bar) ??? 1-2. 컬러바 신호(Color bar signal) ??? 1-3. 그레이스케일 신호( Grayscale signal ) ??? 1-4. 흰색 신호(White signal) ??? 2. 기본적인 모니터 조정방법 ??? 2-1. 크로마(CHROMA)조정 ??? 2-2. 위상(PHASE)조정 ??? 2-3. 밝기(Bright)조정 ??? 2-4. 명암(Contrast)조정 3. 추가적인 모니터 조정방법 ??? 3-1. 화이트밸런스 조정하기(White balance) ??? 3-2. 화면전체의 균일성 확인하기 ??? 3-3. 모니터주위의 주변 환경 정리 4. 자주 발생하는 증상과 해결 방법 ??? 4-1. 이미지가 너무 밝은 경우 ??? 4-2. 검정색이 회색처럼 조금 떠 있는 것처럼 보일 경우 ??? 4-3. 화면에 줄이 생기고 아래위로 흐를 때 ??? 4-4. 영상모니터 주위에 자기력을 가진 물체가 있어 서로 간섭을 일으킬 경우 ??? 4-5. Raster Rotation 5. 모니터의 사양(Specification) 비교 ??? 5-1. 해상도 및 화면비 ??? 5-2. 밝기(Brightness) ??? 5-3. 명암비(Contrast Ratio) ??? 5-4. 응답속도(Response Time) ??? 5-5. 시야각(Viewing Angle) ??? 5-6. 모니터 사양의 예 6. SONY LCD모니터의 모델명 표기방법 ? 제4장 영상포맷과 기록포맷의 종류 1. 영상포맷의 표기방법 ??? 1-1. 영상 주사방식, 비월주사방식과 순차주사방식 ??? 1-2. 순차주사(Progressive Scan)방식 ??? 1-3. 비월주사(Interlace scan)방식 ??? 1-4. 순차주사방식과 비월주사방식의 장단점 ??? 1-5. 프레임(Frame)/필드(Field) 주파수 ??? 1-6. 유효수평 주사선수 2. HDTV과 SDTV비교 ??? 2-1. 프레임레이트가 29.97 그리고 23.98이 표준인 이유 ??? 2-2. 화질비교 HDTV 16:9 대 SDTV 4:3 ??? 2-3. 데이터 량 비교 ??? 2-4. 시야각(Viewing Angle) 비교 ??? 2-5. 화면비 변환 (HDTV16:9 vs SDTV4:3) ??? 2-6. 영상포맷의 해상도비교 3. 프레임(Frame)주파수의 변환 4. 영상 기록포맷의 종류 ??? 4-1. HDCAM (1997년 처음으로 소개됨) ??? 4-5. Digital Betacam ??? 4-6. DVCAM (SD디지털) ? 제5장 VCR 1:1 편집73 1. DSR-2000 1:1편집(CUT편집) ??? 1-1. VCR 초기화하기 ??? 1-2. 편집용 테이프 준비하기 ??? 1-3. 테이프 수동으로 빼내기(응급조치) ??? 1-4. 1:1 자동편집을 위한 시스템 구성 ??? 1-5. 자동편집(AUTO EDIT) ? 제6장 카메라의 종류와 기초 1. 카메라의 종류 ??? 1-1. ENG(Electronic News Gathering)카메라 ??? 1-2. 소형 핸디타입 캠코더(Handycam) ??? 1-3. EFP(Electronic Field Production)카메라 ??? 1-4. Studio Camera ??? 1-5. System Camera ??? 1-6. Remote카메라 ??? 1-7. Box형 카메라 2. 카메라의 구성 ??? 2-1. 초점거리(Focal Length) 와 화각(Angle of viewing) ??? 2-2. 렌즈의 구성과 의 종류 ??? 2-3. 카메라의 조정에 사용되는 차트의 종류 ??? 2-4. 노출(Exposure)관련 조정 ??? 2-5. 촬상소자 3. 기초이론 ??? 3-1. 빛의 스펙트럼 ??? 3-2. 물체의 색 ??? 3-3. 색 온도 (Color temperature) ??? 3-4. CC필터 (Color Conversion filter) ??? 3-5. 화이트밸런스(White balance) ??? 3-6. 화이트밸런스(White balance) 조정 ??? 3-7. 블랙밸런스(Black balance) ??? 3-8. 피사계심도(Depth of Field) ? 제7장 캠코더로 촬영하기 1. 촬영 준비과정 ??? 1-1. 촬영을 위한 주변장비 준비 ??? 1-2. 캠코더 초기화하기 ??? 1-3. 타임코드 설정 ??? 1-4. 마이크연결 및 음향레벨조정 ??? 1-5. 컬러바 및 1KHz음향신호 테이프에 기록하기 ??? 1-6. 적정노출(밝기) 조정 ??? 1-7. 색상조정 ‐ CC필터, 화이트밸런스 ??? 1-8. 초점(Focus) 조정 ??? 1-9. 두 대 이상의 캠코더로 촬영하기 2. 촬영 중 캠코더 조정 3. 촬영 후 확인 4. DSR‐PD170/PD150 ??? 4-1. 초기화하기 ??? 4-2. 타임코드 설정 ??? 4-3. 마이크연결 및 음향레벨 조정 ??? 4-4. 컬러바 및 1KHz음향신호 테이프에 기록하기 ??? 4-5. 꼭 알아두어야 할 BACK LIGHT, SPOT LIGHT ??? 4-6. 자동노출 보정 AE(Auto Exposure) SHIFT ??? 4-7. ND필터 조정 ??? 4-8. 조리개(Iris)조정 ??? 4-9. 게인(Gain)조정 ??? 4-10. 셔터속도 조정 ??? 4-11. 화이트밸런스조정 ??? 4-12. 초점(Focus) 조정 ??? 4-13.녹화된 테이프의 끝 지점 찾기 ? 제8장 프로젝터(Projector) 1. 프로젝터의 종류 ??? 1-1.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패널)프로젝터 ??? 1-2. DLP(Digital Light Processing)프로젝터 ??? 1-3.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프로젝터 ??? 1-4. CRT프로젝터(Cathode Ray Tube Projector) 2. 프로젝터 고르기 ??? 2-1. 밝기(Brightness) ??? 2-2. 콘트라스트비(Contrast Ratio) ??? 2-3. 해상도(Resolution)와 화면비 ??? 2-4. 화면 균일도 3. 프로젝터의 주요 기능 ??? 3-1. 렌즈배율(Throw Ratio) ??? 3-2. 렌즈시프트(Lens Shift) ??? 3-3. 키스톤(Key stone) 4. 스크린의 종류 ??? 4-1. 매트 화이트(Matte White) ??? 4-2. 그래스비드(Glass Beaded) ??? 4-3. 울트라(Ultra) ??? 4-4. 하드스크린 ??? 4-5. 소프트스크린 5. 프로젝터의 밝기와 주변 빛(조명)과의 관계 6. 기본적인 빛의 단위 ? |
- 이전글이발소와 미용실의 삼색등의 의미 10.11.05
- 다음글사랑의 에너지 10.11.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