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교회

subtop-06-250102.jpg

자유 게시판

지역사회의 자랑과 희망이 되는 교회, 오산교회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홈 | 교제와 나눔 | 자유게시판


본 홈페이지는 오산교회 성도님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자유게시판을 이용하실 분은 회원 가입 후 교회 사무실(031-374-0203~6)에 인증을 요청하시기 바랍니다.

몽골의 음식문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권영대
댓글 1건 조회 1,790회 작성일 11-08-10 16:47

본문

몽골의 음식문화

?




?


① 부즈

몽골의 3대 진미(珍味)중 하나로 동그랗게 빚어 쪄낸 만두로 만두속은 대부분 양고기나 쇠고기를 사용하는데 요즘은 양파, 마늘, 당근 등의 야채를 섞어서 빚기도 한다. 보통 명절 때나 손님 대전에 귀하게 쓰이는 음식이다.

② 호쇼르

몽골의 3대 진미(珍味)중 하나로 동르랗고 약간 두껍게 피를 빚어 그 안에 잘게 썰은 고기를 넣고 끓는 기름에 튀겨 낸 것이다 . 부즈와 함께 몽골인들이 즐기는 음식이지만 보츠와의 차이점은 부즈는 손님 대접에 많이 쓰이는 반면, 호쇼르는 간편하게 만드어 즐겨먹는다는 것이다.

③ 게데스

양이나 염소의 장에 양의 피와 약간의 메밀가루, 양파와 마늘, 약간의 야채를 넣고 소금간을 하여 삶아낸 순대이다.

④ 보츠

육포와 같이 찢어서 말린 고기를 말한다. 그리고 추운 겨울에 고기를 말린 뒤 이듬해의 양식으로 삼거나 비상식으로 이용한다. 몽골인들은 여행중에 보르츠를 갈아 분말로 하여 뜨거운 물에 타서 먹기도 한다. 보츠는 건조한 지방일 경우 1~2년간 보존할 수 있다.고대 몽골인들은 원정을 떠날 때 원정의 규모에 따라 보츠를 준비하는데 보츠의 수가 많을수록 대규모의 장기원정이다. 원정 때 보츠는 조로 소의 방광에 집어넣는데 방광 속에는 잘 건조된 소 한 마리분의 건육이 들어간다. 보츠는 몽골이 세계를 정복할 수 있었던 군수품 중의 하나이다.가정에서 해먹는 ‘홀간보츠’, 유목생활에서 해먹는 ‘겔보츠’, 남자들이 좋아하는 ‘사란보츠’, 생일 때 먹는 꽃 모양의 ‘제츠긴 보츠’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⑤ 만토

속에 아무 것도 넣지 않은 밀가루 빵이다.

⑥ 탈흐르

주먹보다 조금 작은 빵으로 우리가 밥을 먹는 것처럼 매 식사 때마다 오르는 메뉴이다.자른 빵위에 마슬 (버트, 마가린종류)을 바르고 그 위에 사하르(설탕)를 뿌려서 먹는다.

⑦ 사마르

사마르는 밤, 잣, 땅콩, 호두, 도토리 등의 견과류를 총칭하는 말로 몽골에선 주로 잣을 의미한다. 우리 잣과는 조금 달리 껍질이 약해 잘 까지고, 몽골인들은 사마르를 주머니에 넣고 다니면서 때때로 씹어 먹는 것을 즐긴다.

⑧ 보다태 호르크

우리나라의 볶음밥과 거의 비슷하다. 소고기나 양고기를 넣어서 밥을 볶으며 양념문화가 발달해 있지 않기 때문에 이 밥을 볶을 때는 소금만을 사용해서 음식을 만든다.

⑨ 반시

우리나라의 물만두와 거의 유사한 몽고식 전통 만두국

⑩ 버덕

몽골 최고의 전통음식??

⑪ 허르헉

허르헉은 양고기를 큼직하게 잘라 감자, 당근 등의 야채와 함께 양철 통에 넣은 후 불에 달군 돌을 통에 넣어 뚜껑을 닫은 후 1시간 정도 익힌 후 먹는 요리이다. 독특한 향신료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양고기 특유의 진한 맛에 거부감이 없다면 우리나라 사람들도 매우 맛있게 먹을 수 있을 것이다.?

⑫ 밀크차

몽고족 전통의 일상음료로 몽골인들의 전통가옥인 게르에 가면 1년 내내 밀크차 특유의 향내가 가득하다. 전차(?茶)와 우유를 함께 끓인 밀크차는차가 끓으면 약간의 소금을 쳐서 먹는것이 특징이다. 전병이나 국수 요리와 함께 먹는 경우가 많다.

?


?출처 : 네이버

댓글목록

profile_image

님의 댓글

작성일

몽골의 음식문화 사진이 보고싶은데 아쉽네요..


Since 2010. Copyright @ OSANCHURCH.NE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