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각김치의 어원 -
우리는 남녀를 나타내는 말이 무척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다.
그 중에서 혼인할 나이가 된 성인 남녀를 지칭할 때에는 \'처녀\' \'총각\'이란 한자어를 사용하는데
그 중에서 \'처녀\'는 그 단어속에 \'女\'가 들어 있어서 그 뜻을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지만, 아마도 \'총각\'은 그 어원을 전혀 짐작하지 못하겠죠. 그리고 고유어로 생각하지 쉬운데요.
하지만, \'총각\'은 한자어인데요. 한자인 \'摠\'은 지금은 \'다 총\' 등으로 \'모두\'라는 뜻을 나타내고 있지만, 원래는 \'꿰맬 총\', \'상투짤 총\' 등으로 쓰이던 것이예요. \'각\'은 물론 \'뿔 角\'이고요.
중국에서나 우리나라에서 아이들이 머리를 양쪽으로 갈라 뿔 모양으로 동여맨 머리를 \'총각\'이라고 했었는데요. 이런 머리를 한 사람은 대개가 장가가기 전의 남자였다고 합니다.
여기에 연유해서 생긴 단어가 바로 \'총각김치\'란 말이죠. \'총각김치\'는 여러분들이 잘 아시듯, 손가락 굵기만한 어린 무를 무청째로 여러 얌념에 버무려 담은 김치를 말하는데, 그 어린 무우가 마치 \'총각\'의 머리와 같은 모습을 닮아서 생긴 단어예요.
그런데 이 총각김치를 마치 총각의 생식기를 형상하는 것에서 생긴 단어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 같은데 그러나 그런 것이 절대 아니니, 처녀들이나 아주머니들 은 이제 아무런 부끄러움 없이 총각김치를 드시도록 하십시요~
?
---------------------------------------------------------------------------------
?
총각김치라고 불리는 이유는?
<총각김치의 어원>
우리는 남녀를 나타내는 말이 무척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 혼인할 나이가 된 성인 남녀를 지칭할 때에는 \'처녀\' \'총각\'이란 한자어를 사용합니다. 그 중에서 \'처녀\'는 그 단어 속에 \'女\'가 들어 있어서 그 뜻을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지만, 아마도 \'총각\'은 그 어원을 전혀 짐작하지 못하실 것입니다. 그리고 고유어로 생각하지 쉽지요.
하지만, \'총각\'은 한자어입니다. 한자인 \'摠\'은 지금은 \'다 총\' 등으로 \'모두\'라는 뜻을 나타내고 있지만, 원래는 \'꿰맬 총\', \'상투짤 총\' 등으로 쓰이던 것입니다. \'각\'은 물론 \'뿔 角\'이고요. 중국에서나 우리나라에서 아이들이 머리를 양쪽으로 갈라 뿔 모양으로 동여맨 머리를 \'총각\'이라고 했었습니다. 이런 머리를 한 사람은 대개가 장가가기 전의 남자였습니다. 여기에 연유해서 생긴 단어가 바로 \'총각김치\'란 말입니다. \'총각김치\'는 여러분들이 잘 아시듯, 손가락 굵기만한 어린 무를 무청째로 여러 얌념에 버무려 담은 김치를 말하는데, 그 어린 무우가 마치 \'총각\'의 머리와 같은 모습을 닮아서 생긴 단어입니다.
|
내용출처 : 다음신지식
김치 담그기가 손쉬워 총각들이 대강대강 담글 수 있고, 꺼내 먹기도 편리해서(썰고 담고 할 필요없이) 그렇습니다. 김치의 형태도 총각들의 상징처럼 단단해 보이기도 하고요... |
내용출처 : 본인작성
머리에 상투를 튼 모양이랑
비슷해서 그런걸꺼에여
? |
角-각. 뿔,총각,쌍상투,모날,다툴, 등의 뜻이있죠^^
흔히 결혼 안한 남자를 총각이라고 한건 두발을 양쪽으로 갈라 뿔 모양으로 동여맨데서 그모양을 보고 총각이라 하였구요
총각무도 마찮가지 무뿌리에 달린 잎줄기들의 모양으로 총각이라고 한것
그래서 생긴모양으로 만들어진 말입니다. |
중국산 김치에서 납이 나온 데 이어 기생충이 검출됨으로써 중국산 김치뿐 아니라 식당에서 나오는 모든 김치에 대한 불신이 늘어나고 있다.
식생활 변화로 김치 소비가 줄어드는 추세에서 점점 김치를 외면하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걱정스럽기도 하다. 김치는 우리 전통음식으로 여러 모로 몸에 좋다는 것이 이미 알려져 있으며, 중국에선 조류독감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면서 인기를 끌고 있기도 하다.
김치에는 배추김치·무김치·파김치·물김치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중에 총각김치가 있다. 손가락 굵기만 한 어린 무를 잎과 줄기째 양념에 버무려 담근 김치가 \'총각김치\'다. \'총각김치\'에 왜 하필이면 \'총각\'이라는 이름이 붙었는지 궁금한 사람이 있을 것이다. 총각김치가 있으면 \'처녀김치\'도 있을 법한데 왜 처녀김치는 없는지도 궁금할 것이다.
?
\'총각김치\'를 담글 때 쓰이는 어린 무를 \'총각(總角)무\' 또는 \'알무\' \'알타리무\'라 하는데, 1988년에 개정된 표준어 규정은 순수 우리말인 \'알무\' \'알타리무\'가 생명력을 잃었다고 해서 한자어 계열인 \'총각무\'로 쓰도록 했다. 따라서 \'총각무\' \'총각김치\'가 표준어이고, \'알무\' \'알타리무\' \'알타리김치\'는 표준어가 아니다. 순수 우리말을 살려 써야 할 판에 한자어를 표준어로 택했으니 비판이 많을 수밖에 없다.
?
옛날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아이들이 머리를 양쪽으로 갈라 뿔 모양으로 동여맨 것을 \'총각(總角)\'이라 했으며, 이러한 머리를 한 사람을 \'총각\'이라 불렀다고 한다. 총(總)은 \'모두\'라는 뜻으로 많이 쓰이지만 과거엔 \'꿰맬 총\' \'상투 짤 총\'으로도 사용됐다. 각(角)은 물론 뿔을 뜻한다. 한 줌 크기로 모아 잡아맨 미역을 \'꼭지미역\' 또는 \'총각미역\'이라 하는 걸 보면 \'총각\'이 동여맨 것을 지칭하는 건 분명하다. ? 따라서 어린 무가 \'총각\'이라는 머리 모양을 닮아 \'총각무\'가 됐고, 그것으로 담근 김치가 \'총각김치\'라는 설명은 어느 정도 설득력이 있다. 그러나 어린 무의 모양이 남성의 그것을 닮았다는 점에서 위의 설명을 받아들이지 않는 사람도 있다. 남성의 그것에서 유래한 이름이며, 옛 여인들이 \'총각김치\'를 담그면서 그런 잡담을 했으리라는 추측이다. 또 여자들이 김치를 담그기 때문에 \'총각김치\'만 있고 \'처녀김치\'가 없다는 것이다. 생각은 자유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