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차드 용재 오닐[퍼온글]
페이지 정보

본문
- 이전글항존직 1차 선거에서 피택되신 분들 축하드립니다. 09.04.20
- 다음글항존직 선거가 진행중입니다. 09.04.19
댓글목록

님의 댓글
작성일한 소년이 있었다. 그의 어머니는 한국전쟁 당시, 고아로 미국에 입양된 정신지체 장애자. 거기다 미혼모 였다. 소년은 그런 어머니와 아일랜드 美國人인 양(養) 외할아버지 밑에서 음악인의 꿈을 키워 나간다. 넉넉치 못한 살림과 다른 피부색 때문에혼자서 우는 날도 많았다. 하지만 그럴수록 비올라 연주에 매진했다. 끊임 없는 연습으로 뛰어난 기량을 쌓은 그는 2000년 LA 필하모닉과 협연하며 미국 무대에 데뷔한다. 그의 호소력 짙은 연주는 점점 화제가 되었고, 마침내 지난 5월 미국 클래식계의 최고 권위있는 賞인 "에버리 피셔 커리어상"을 수상한다. 한국계 미국인 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 오닐(27) 의 얘기다. 각기 다른 슬픔을 노래하는 애절한 선율은오닐의 그윽한 비올라 선율과 조화를 이뤄, 관객들의 눈시울을 적신다. 특히, 위에 선곡 된 이흥렬의「섬집 아기」연주는, 가슴이 차가운 사람도 울컥하게 할 만큼애잔하고 감동이 깊다. 마치 그의 삶이고스란히 묻어 있는 듯한 연주다한편, 뉴욕 줄리아드 音大를 나온 오닐은현재 미국 링컨센터의 체임버 뮤직 소사이어티 단원으로도 활동 중이며, 2007-2008 시즌 카메라타 파시피카 수석 비올리스트로 선정됐다